본문 바로가기

게임/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서버 구축 #1 - 버킷 만들기

 

CraftBukkit을 이용하여 버킷을 만드는 방법이다.

 

https://getbukkit.org/download/craftbukkit 으로 접속하거나, 해당 링크 닫혔을 시

Google 검색창에 CraftBukkit 을 검색하여 다운로드 링크를 찾는다.

 

자신의 마인크래프트 버전에 맞는 JAR 파일을 다운받는다.

 

'마인크래프트 버킷' (이름은 자유) 이라는 이름으로 폴더를 만들었다. (이하 root 폴더)

다운 받은 jar 파일의 이름을 craftbukkit.jar로 바꾸어준다.

 

적용한 화면

 

그리고 공백에 오른쪽 키 -> 새 텍스트 문서로 'server.txt'를 만든다.

그 파일 안에 다음 내용을 써넣는다.

@echo off
java -Xms8G -Xmx12G -jar craftbukkit.jar
pause

 

-Xms 다음에 넣는 문자는 서버에 할당하는 최소 RAM 용량이고, -Xmx 다음의 문자는 최대 RAM 할당량이다.

나는 꽤 풍족한 RAM 용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8GB~12GB로 넉넉하게 넣어주었다.

RAM 용량 범위는 본인 컴퓨터 램의 40%~70% 정도로 잡으면 적당하다.

 

저장하고 나와서 server.txt 파일의 확장명을 '이름 바꾸기'를 통해 bat으로 만들어준다. (server.bat)

 

해당 bat 파일을 실행하고 조금 기다리면,

이런 내용이 나오는데, EULA(최종 사용자 라이선스 동의)에 동의해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java'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올 수도 있는데, 자바를 설치하고 다시 시도하길 바란다.

 

자바 설치 방법은 추후에 포스팅하겠다.

 

종료하고 나오면 폴더에 여러 파일들이 생성되어 있는데,

eula.txt 파일을 열어준다.

 

내용의 끝자락에 eula=false 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eula=true로 바꿔준다.

저장 후, 다시 server.bat 파일 실행.

 

잘 실행되면, 다음과 같이 뜬다.

이것을 끄지않은 상태로, 잘 실행되는지 확인을 위해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한다.

Multiplayer로 들어가서, Direct Connect를 누르고 서버 주소창에 127.0.0.1(로컬 호스트 주소)을 입력한다.

 

Join Server.

접속이 되면 50%는 성공한 것이다.

 

마인크래프트 서버에서 나오고, 버킷을 꺼준다.

 

폴더에 가보면 많은 파일들이 더 생성되어있는데, 그 중 server.properties를 자주 손댈 것이므로 편하게 설정해주자.

server.properties 파일을 오른쪽 클릭>속성>일반>연결 프로그램 변경>추가 앱>메모장(또는 다른 텍스트 에디터)로 변경 해준다.

 

확인 누르고 나와보면,

 

다음과 같이 메모장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더블클릭하면 바로 메모장으로 연결되어 편집할 수 있다는 뜻임.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여러가지 파라미터(인자)들이 나오는데,

 

각각 다음의 뜻을 가진다. (없는 것은 나도 모르는 것)

 

allow-nether : 지옥 활성화 여부

level-name : 맵 이름 설정

allow-flight : 서버의 모든 플레이어들이 날 수 있는지 여부

server-port : 서버 포트 설정 (가능하면 건들지 않는다.)

max-world-size : 월드 최대 크기 설정

level-type : 레벨 유형 설정 (DEFAULT = 기본 지형, FLAT = 평지, LARGEBIOME = 증폭)

level-seed : 맵 시드 설정

server-ip : 도메인 또는 하마치 ip 입력

spwn-npcs : NPC 소환 여부 설정

white-list : true로 설정시 화이트리스트에 허용된 유저만 접속할 수 있게 설정

spawn-animals : 동물 소환 여부 설정

hardcore : 서버에서 죽으면 밴 당함

pvp : 서버에서 싸움 가능한지 여부 설정

difficulty : 게임 난이도 (0 = 평화로움, 1 = 쉬움, 2 = 보통, 3 = 어려움)

enable-command-block : 커맨드 블록 사용할지 여부 설정

max-players : 서버의 최대 동시접속자 수 설정

motd : 서버의 motd 설정 (한글로 쓰면 안됨, 뭔지 모르겠다)

 

적절히 설정 후 저장하고 버킷을 다시 킨 후에 다시 들어가보면 잘 된다!

 

이제 버킷 실행은 bat 파일만 실행하면서 키면 된다.

 

해당 포스트는 https://www.youtube.com/watch?v=btq5o8M21SE 영상을 참고하였다.

 

물론 다 완성된 것은 아니다. 로컬 호스트(자신의 컴퓨터 ip)에서만 접속이 가능할 뿐, 다른 사람들은 접속할 수 없다.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에는 크게 하마치를 사용하는 방법과 그렇지 않은 방법 2가지로 나뉘는데,

 

다음 포스트에서는 하마치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서버를 여는 방법을 포스팅할 것.